AI 알고리즘 연구는 단일 형태의 데이터 처리에서 벗어나 멀티모달 정보 간 의미론적 정렬(semantic alignment)을 통해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급속히 진화하고 있다. 특히 최근 arXiv와 대형 기업 AI 블로그에서는 시각-언어 추론, 비디오 기반 의사결정, 멀티모달 기억(Memory) 연동 등을 중심으로 한 알고리즘의 발전이 주목받고 있다. 이번 주는 그중 대표적인 알고리즘 3가지를 정리하고, 이들이 어떻게 미래의 고차원 추론 능력을 뒷받침할지를 살펴본다.
🔍 1. VideoCoT (Video Chain-of-Thought): 멀티프레임 추론을 위한 시퀀스 기반 비디오 이해
VideoCoT는 비디오를 프레임별로 분할한 후, 각 프레임에서 발생하는 사건들을 시계열 Chain-of-Thought 형식으로 연결하여 종합적인 의미를 도출하는 알고리즘이다.
📌 핵심 기술:
- 프레임 단위 이벤트 디코딩
- CoT 기반 시간적 상관 추론
- 텍스트 설명 생성 → 비디오 행동 판단으로 전환
📌 실전 응용:
- 감시 영상 내 위험행동 탐지
- 스포츠 경기 주요 장면 자동 요약
- 비디오 기반 행동 설명 생성
🔍 2. MM-ReAct: 멀티모달 리액티브 추론 프레임워크
🔗 Meta AI Research – MM-ReAct 소개
Meta AI는 MM-ReAct 프레임워크를 통해, 이미지, 텍스트, 음성 등의 다양한 입력에 따라 AI가 능동적으로 반응하고 의사결정하는 구조를 제시했다.
📌 구조 개요:
- 다양한 modality에 따른 리플렉스-평가(Reflex-Eval) 사이클
- 유저 지시문에 따라 프롬프트 및 행동 계획 실시간 구성
- multimodal memory bank 내 정보와 연계
📌 장점:
- 전통적인 LLM보다 상황 대응력 향상
- CoT-기반보다 유연한 목표 달성 경로 수립
- 다중 에이전트 환경에서 적합한 반응 설계 가능
🔍 3. MoME (Modality-Memory-Expert): 전문가 기반 멀티모달 추론 구조
MoME는 MIT와 IBM이 공동 개발한 모델로, 입력 modality에 따라 전문가 모델(Expert)을 자동 선택하고, 필요한 경우 내부 기억 시스템을 호출해 종합적 판단을 내리는 방식이다.
📌 기술 구성:
- 이미지/텍스트/코드/음성 Expert 모듈 분화
- memory router 기반 중요 정보 검색
- output blending을 통한 결합 추론 결과 생성
📌 주요 응용:
- 의료 데이터 분석 (영상 + 텍스트 진단 통합)
- AR/VR 실시간 인터랙션 처리
- 교육 및 튜터링 시스템에서 학생 상태 기반 반응 생성
📌 결론: 멀티모달 추론 알고리즘은 ‘인간처럼 생각하는 AI’의 관문이다
이번 주 발표된 알고리즘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진보를 보여준다:
- 시간 축 추론과 행동 판단의 통합 (VideoCoT)
- 실시간 목표-대응 시나리오 생성 능력 (MM-ReAct)
- 전문가 선택 + 기억 활용 기반 메타인지 구조 (MoME)
이러한 기술은 향후 AI가 단순한 응답기계가 아니라, 컨텍스트 기반 의사결정 파트너로 진화하는 데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할 것으로 평가된다.
'AI Algorithms (AI 기술과 알고리즘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AI 전략의 미래: 중앙 집중형 모델에서 분산형 에이전트 네트워크로 (0) | 2025.04.28 |
---|---|
LLM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새로운 프레임워크, DSPy 완전 정복 (0) | 2025.04.22 |
개발 전에 디자인부터? 디자인 주도 개발의 장단점 총정리 (0) | 2025.04.10 |
Haystack 기반 RAG 시스템 구축 시작하기 (5) | 2025.01.09 |
NLP(자연어 처리) 개요와 원리 (9) | 2024.12.31 |